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신고 하기 (feat.늘처음:)
    기억을 위한 기록 2021. 2. 8. 18:03

    www.hometax.go.kr 첫 화면

    여전히 매출이 없지만 아주 가-끔 손대는 소매 중의 소매업이다. 올해는 코로나 19로 처음 소셜 판매 (쿠팡, 도매 꾹, 11번가, 위메프 등)에 등록해봤다. 부가세 신고 5년 차인데 워낙 소규모이고 1년에 1번 하다 보니 말도 어렵고 매번 까먹어서 기록해보고자 한다. 이것저것 적기 시작하니, 맨 처음은 자료 모으는 것부터 해야 한다. 최종 신고는 계산 후에~


    1. 각 판매사이트마다 들어가서 부가세 신고자료(매출내역) 정산 내역 확인

    • 도매 꾹-상품공급사센터(판매관리)-정산내역 관리-부가세 신고자료
    • 쿠팡-정산관리-부가세 신고 내역
    • 11번가 셀러오피스-정산관리-부가세 신고 내역
    • 위메프 파트너-정산-부가세 신고 내역

    2. 매입을 카드결제로 한 경우, 카드사별로 부가세 자료 확인하기

    • 국민카드-이용/결제내역-부가세 환급 지원 (1년 조회) : 엑셀 내 가맹점 번호, 가맹점사업자번호 필요
    • 우리 카드-개인 홈페이지-고객센터-증명서 발급-종합소득세/부가세 카드내역(로그인 후 이용)

    우리 카드는 인터넷 신청시 2시간 이후부터 조회 가능하며, 빠른 확인을 원할경우 우리카드 고객센터(ARS 1588-9955)를 이용하면 된다. 

    3. 그 외 자료들 수집하기

    • 종이 세금계산서와 마감일이 지난 전자세금계산서 등
    • 각종 현금영수증 자료, 화물 운전자 복지카드 내역, 사업자 신용카드 내역 등
    • 어디서(가게) 어떻게(카드, 현금, 계좌이체) 했는지 생각해보고 그 홈페이지에서 모으는 세금자료를 다 첨부한다.

    평소에 정리해 두었으면 빨랐을걸, 하는 후회와 함께 신청 전에 더 챙길 서류가 없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사업과 관련된 서류는 늘 출력해두고 1년간은 보관해 두도록 하자... 나중에 찾으려니 더 정신없음..


    4. 홈택스에 입력하기

    나는 간이과세자이므로 - 간이과세자-> 정기신고를 눌러준다. (처음 만들 때는 일반과세자로 해서 6개월에 한 번씩 신고했으나, 매출이 현저히 적어 강제로 간이과세자로 변경되었다.)

    • 누르고 바로 보이는 부분은 "기본정보 입력"이니 당황하지 말고 내 정보 확인하기
    • 기본정보(업종 선택) 입력 : 사업자등록증에 있는 업종이 선택되어있는지 확인하고 - 실적이 없다면 무실적 신고, 아니면 저장 후 다음 이동 
    •  "단일 업종을 선택하셨습니다. 간편 신고를 하시겠습니까?" - NONONONONO (뭔가 누락시킬 수도 있음)
    • 공제세액 -작성하기 클릭

    매입세금계산서등 수취세액 공제- 작성 끝!

    왼쪽 화면의 매입(내가 신용카드 또는 현금, 세금계산서 받은 내용)과 매출을 몽땅 입력하고 제출하면 된다. 예전에는 세무 대행인 없이 신고하는 경우 10,000원 환급(?)해줬었는데 없어진 것 같다. 세금 안내는 것만으로도 다행.. 

Designed by Tistory.